행복을 위하여

지지와 계절의 관계에 대하여 본문

우산을 준비하는사람

지지와 계절의 관계에 대하여

새 아침 2017. 10. 16. 09:21
반응형

지지와 계절에 대하여는 무슨달에 무슨 지지가 붙고, 어떤달에 어떤지지가 붙는지에 대한 생각만 강하게 머리속에 자릴 잡고 있응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계절을 단위로 해서 보는 법을 설명하도록 합니다.

 

1년은 4계절로 이루워져 있고, 한 계절은 3개월씩으로 되어있다. 그러니까 지지 역시 석자가 한계절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의 그림에서는 앞에서 공부한 기억을 더듬어 1월의 자리에 寅이 붙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거기에서 한해의 봄이 시작이 되고, 3월인 辰의 의 자리에서 봄이 끝나도록 되어있다.

 

 

 

 

ㅂㅗㅁ철 3개월의 지지를 읽어보니까 "인묘진"이 도니다. 바로 그것이다. 굳이 1,2,3월이라고 말하지 않고 인묘진 또는 인묘진월이라고 해도 그것이 봄철의 3개월을 말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도록 한것이 역리학의 세계인 것이다.

그와 마친가지로 여름은 사오미, 가을은 신유술, 겨울은 해자축이라고 하면 된다. 물론 자원이라든지 인월이라든가 미월이라든가 술월이라고 말 할때에는 그 지지들이 해당ㄴ되ㅣ는 11월, 1월, 6월, 9월 등의 특정 달을 말 하는 것이 된다.

 

그러면 여기서 각 계절의 마지막 달을 주의 깊게 보기 바란다. 각 계절의 끝 달은 3, 6, 9, 12월이 되는데, 거기에는 예외 없이 진미축술이라고 하는 오행이 토(土)인것을 발견할 수 있을것이다. 각 계절의 끝달들을 가리켜 계월이라고 부르는데 , 12개의 지지중 다른 오행들은 다 두자씩으로 되어 있으면서 유독 토만 네자로 만들어져 있던 것은 바로 그 사계월에  토가 붙어야 하는 원리 때문이었다. 수목화금 같은 다른 오행들은 춘하추동의 자기 계절을 가지고 있지만 토는 특정된 계절이 없다. 토는 매 계절의 끝달마다 두루 섞여 있는 것이다.

계절의 끝에 붙어있는 토 들을 춘하추동의 순서대로 나열하게 되면 조금전에 얘기한 것처럼 진미술축이 되는데 보통 간지를 논하는 학술적인 호칭으로 진술축미라고 하고 있다. 그것은 곧 이어서 알게될 지지의 상충에서 알게 될텐데 , 진술축미라고 하는 호칭은 충(沖)을 위주로 하여 붙였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그럼 이 자리에서 천간에 대하여 조금 언급을 하고넘어가도록 하게ㅛ다. 천간은 지지처럼 일정 불변으로 달에 붙어 있는 것은 아니고 다가오는 태세가 무엇인가에 따라 달의 천간에 붙는 글자가 달라지도록 되어 있다. 같은 정월달 이라고 辛未년에는 천간자가 庚이었고, 임신년에는 임자가 붙도록 되어 있다. 그렇게 된 까닭은 달에 대한 천간의 운기가 매년의 태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인데, 그것을 알아 내는 방법은 월건법 또는 둔월법에 나와 있으며 그에 관해서는 뒤에서 설면할 기회가 있을것 입니다.

-명리대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