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칠살 (4)
행복을 위하여

비견의 칠살인 편관이 비견을 보면 편관의 편재로서 자녀가 사립대학 입학, 결혼, 금전낭비, 사업추진을 하게되고, 긴혹 부부이별하게 되며 , 신왕하고 칠살이 허약하면 폭력배, 관재수, 부채 등의 불상사가 발생한다. 그러나 칠살이 튼튼한 경우에는 친구, 형제, 동업자의 도움으로 대성한다. 칠살은 악독하고 흉폭한 맹수를 신약한 일간 혼자서는 감당하기 어려울때 제이군주인 비견이 합세하여 힘없고 신약한 일간을 도운다면 편관인 칠살을 능히 대적하여 잔인 무도한 칠살을 제압하여 편관을 신하인 부하로 만들 수 있음으로서 일간의 위풍을 청하에 호령하고 지휘할 수 있게 되니 만인 위에 굴림하여 대업을 당당하게 성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제와 동기간 , 동창생, 친구, 동업자, 합자 등의 혐동과 혐조의 힘을..
편관과 칠살의 구분은 어떻게 편관과 칠살이라는 말은 원래 같은 말이나 편관이 식상으로 억제 되거나 인성으로서 설기된 경우에는 편관이라하고, 식상이 제살하지 못하거나 인성으로 설기하지 못하는 편관을 칠살이라 한다. 편관은 맹수와 같은 용맹성과 강인한 체질과 잔인한 기질을 모두 갖춘자 만이 누릴 수 있다. 그 맹수같은 용맹과 번개같은 두뇌와 야성적인 포악성과 무자비하고흉악한 무법자를 칠살이라 한다.칠살은 반드시 살생만을 먹고 산다. 범법자인 상대가 눈에 보이기만 하면 번개처럼 달려가서 무자비하게 짓밟거나 살상을 일삼는다. 이렇게 무자비하고 잔인한 맹수인 무조건 벼슬을 주고 무조건 총칼을 줄 수는 없다. 그것은 위험천만의 살인행위요, 자살행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적군을 공격하고 무법자를 다스리는 데는 아무래..
정재가 재성을 만나면 재성이 재성을 보면 재다신약의 구조가 되니 일간의 신강이 필요조건이 되므로 인성과 비겁을 보아야만이 발복합니다. 재성은 돈을 생산하는 시장이자, 남편을 섬기는 아내의 별로서 재성이 재성을 보면 두개의 시장과, 두명의 아내와 부친을 거느리고 모시는 경우가 되므로 시장을 옮기거나 , 첩을 두거나, 아내와 이별을 하거나, 모친이 재가 하거나, 부친이 사망하는 경우가 있고 신왕하면 부자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신왕하고 상품을 생산하는 식신이 있는데 시장이 두개라면 이는 새로운 시장의 개척이자 확대로서 번창함을 의미하고 각지에서 돈을 벌고 치부하는 부의 대행진이라고 하겠으나 , 본점에서 지점을 차리고 각처에 시장과 지점을 개설하니 부를 누릴수 있겠으나 생산공장인 식신이 없거나 두개의 시장..
겁재(劫財)가 편관(偏官, 七殺)을 만나면 무림천하인가? 일간의 편관은 무관으로서 자녀성이요, 부인의 식상에 해당하며, 겁제의 정관인데, 겁재를 양인이라 하니 겁재는 총칼이요, 편관은 용감한 무관이요, 무사이며, 겁재인 양인살 총칼은 무사인 편관을 만남으로써 빛과 능력을 발휘하고, 무사인 편관은 겁재인 총칼을 두손에 쥐어야만 권위를 만방에 떨치는 것입니다. 편관은 겁재의 정관으로서 편관이 겁재를 보면 정재로서 다정하고 정겨운 한 쌍의 부부가 되기 때문입니다. 완전 무장한 무사를 거느릴 수 있는 것은 오직 권력자인 용장뿐으로 신왕하고 겁재와 편관을 겸하여 갖는 일간은 천하의 대권과 병마를 통솔하고 장악할 수 있는 재질과 능력과 포부를 가지고 있는 큰 인재로서 좌우에 완전 무장된 겁재의 용장을 거느리고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