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재 (3)
행복을 위하여
정재가 식신을 만나면 정재가 있는데 식신까지 만나면 일간은 신약하게 되므로 인수의 도움이 필요하고 신왕함을 요합니다. 식신은 정재의 정인이고, 재성은 시장인 식신은 상품이며 재성인 시장과 돈은 생성하는 원동력 입니다. 돈은 상품인 식신의 품질이 좋고 많아냐 재성인 돈을 많이 벌수 있고 식신인 상품은 재성인 시장만 있으면 돈은 자유자재로 벌 수 있고 부자가 될수도 있습니다,. 식신은 천연적으로 생산된 자연의 과실이요, 재성을 생성하는 원덩력인 상품으로 하늘에서 내린 의식주로서 풍부하묘, 그것은 곧 부모로 부터 받은 상속인것 입니다. 상속은 자기소유의 기본이요, 자기자본으로서 상품을 생산하고 재성인 시장을 개척하니 낭비가 없고 이윤이 높으며 머리를 쓰지 않아도 만사가 순조롭게 진행됩니다. 내 자본과 내 상품..
정재(正財)의 통변 일간 또는 비견이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배우되어 있는데, 정재는 근면, 성실, 정확성, 정직, 저축성, 노력, 인내심, 집착심, 고정수입, 안정된 생활, 효도, 충성, 신용, 보존성, 본사, 준법정신, 직무충실, 이기주의, 검소, 인색, 월급, 자산, 정당성, 등을 나타내고 혼례를 치루고 맞이한 정처가 되며, 근면하게 노력하여 정당하게 보수를 받는 월급재물을 말합니다. 정처이기 때문에 가장 소중하게 아끼고 , 정당하고 근면하게 노력한 댓가이기 때문에 함부로 낭비하지 않으니 정재를 가진 일간은 인색하기도 합니다. 정재가 유기하면 몸가짐이 단정하고 인사성이 밝으며, 근면성실하고, 신망이 두터우며, 성격은 어질고 매우 원만하고 검소하나 수전노라는 별명을 듣기도 합니다. 그러나 식상이 통..
비견이 재성(편재, 정재)를 만날때의 통변에 관한 포스팅입니다. 비견이 편재(偏財)를 만났을때의 통변 정재는 합법적인 재물이요, 합법적인 정식 아내 이지만 편재(偏財)는 비합법적인 임자 없는 재물이요, 만인의 재물이며 임자 없는 여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비견과 비견이 편재를 만나면 부인을 버리고, 바람을 피우거나 , 공직자는 승진을 하거나 , 직업을 변동하거나, 자리 이동이 있게 되고, 직장인도 직장을 버리고 사업을 경영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고 합니다. 편재가 왕성하고 일간과 비견이 신약하다면 편재인 노다지 금광을 발견하고도 힘이 허약하여 금광은 물론 사업도 실패로 끝날것이요, 일간과 비견이 신왕하면 단독 또는 동업으로 사업을 경영하여 성공할 것입니다. 원래부터 편재는 일간의 소유 재산이 아니고 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