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위하여

십이운성의 쇠, 병, 사, 묘에 관한 설명 본문

우산을 준비하는사람

십이운성의 쇠, 병, 사, 묘에 관한 설명

새 아침 2017. 11. 17. 11:16
반응형

오늘은십이운성의  쇠, 병, 사, 묘에 관한 설명입니다.

 

 

쇠(衰)

 

월지나 일지에 쇠가 있으면 가정적이나 욕망이 적다. 의심하는 경향이 있고, 직업은 학자, 종교가 등에 적합하다. 인정이 많은데 인정에 끌려 남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여 피해를 본다. 특히 재정보증을 서다가 파산을 하므로 주의 해야한다. 쇠가 있으면 성격은 온순, 담백하고 의지가 박약하여 불안해 하기도 한다. 인내력이 부족하여 용두사미가 되기 쉽고 동정심이 강하다. 장년에 이르러 모든 직에서 물러나야 하는 시기를 의미 하므로 내실을 다지고 현상 유지가 좋다. 온순하고 진실적이고 타협적이다. 쇠는 신중, 보수적, 쇠퇴, 계승, 시기심, 학자, 종교인을 상징 한다.

 

[판단]

1. 비겁이 쇠가되면 형제가 쇠퇴한다.

 

2. 재성이 쇠가되면 기업이 쇠퇴한다.

 

3. 관성이 쇠가 되면 직업적인 어려움과 가문이 기울고 자식도 유약하다.

 

4. 연주가 쇠가되면 가정에는 충실해도 사회적인 입신은 어렵다. 쇠퇴한 가정에서 출생하고 만ㅁ년에도 나쁘며 가족을 많이 잃는 경향이 있다.

 

5. 월주가 쇠이면 부모형제의 덕이 없으며 청년기에 발전이 어려우며 보증등으로 인하여 금전상 손해를 보기가 쉽다. 남의 일 때문에 파산할 우려가 있으니 보증을 서지마라.

 

6. 일주가 쇠면 경제관념이 강하고 차분한 성격이다. 여명은 조용하고 차분한 현모양처 형이다. 그러나 내성적인 성격을 가지므로 사교적이지 못하다. 학문적 예술적 소질이 많으므로 학자, 예술가, 의사가 되면 재능을 발휘할 수가 있다. 남을 위해 신경을 너무쓰면 본인에게 해로우니 조심해야한다. 여자는 시부모에게 공양이 어렵고 일지가 편인이 되면서 쇠가되는 갑진일, 경술일, 신미일 생은 좋은 배우자를 만나기 어렵다.

 

7. 시주가 쇠면 자식에 대한 애로가 많고 만년에 고독하고 고생이 많다. 시주가 쇠면 한가지 재능르오 출세할 수 있다.

 

 

병(病)

병이 있는 사람은 신체가 허약하고 부모와 이별할 우려가 있다. 재물복과 취미가 다양하다. 온순, 허약, 피로, 쇠퇴의 경향이 드러낸다. 병은 신경질, 결벽증, 약기, 친척과의 인연이 없음, 질병, 취미나 오락의 탐닉, 우유부단 등을 상징한다. 외적인 활동 보다는 조용히 내적을 다지는데 힌써야 한다. 어려움에 부딪치면 좌절을 잘 한다. 그러므로 참모, 연구직종, 기사, 철학자, 교사 등에 인연이 있다.

 

[판단]

1. 비겁이 병이면 형제가 빈약하고 형제의 질병 때문에 걱정한다.

 

2. 식신이 병이면 병에 잘 걸리며 특히 소화기 계통의 병을 조심해야 한다.

 

3. 재성이 병이면 남명은 처가 질병으로 고생하거나 재물이 흩어진다.

 

4. 관성이 병이면 신분이 미천하며 남명은 자식의 잔병이나 자식의 일로 인하여 걱정을 많이 하게된다.

 

5. 인성이 병이면 부모의 덕이 없으며 부모의 위업을 계승하지 못한다.

 

6. 연주가 병이면 윗대가 곤궁했고 어릴때 잔병으로 고생이 많았다. 사업을 하면 내부의 불화로 인해 지체됨이 많다.

 

7. 월주에 병이면 부모 형제 중 사고가 있거나 청년기에 병이 많아 운의 진행이 막히고 근심걱정이 많다. 중년운이 쇠퇴하고 질병을 앓고 가내에 근심이 많다.

 

8. 일주가 병이면 다정다감 하지만 어릴때는 병약하고 성장 후에는 부모덕과 배우자 덕이 박하다. 두뇌는 명석하나 신경질적이며 인내력이 부족하다. 과로하면 병이 생기므로 주의 해야한다.

 

9. 시주가 병이면 자식으로 인한 걱정이 많고 만년이 좋지 않다. 재혼할 우려가 있고 무신일, 계유일은 특히 그렇다.

 

 

사(死)

두뇌가 좋고 선견지명이 있다. 그러나 결단력이 없다. 남자는 처연이 쉽게 변한다. 학문, 기예 방면으로 진출하면 좋다. 질병, 고뇌, 겁쟁이 등의 속성을 갖는다. 소극적 성격으로 좋은 기회를 놓친다. 천성이 담백하고 정직하며 근면 성실 노력하는 명식이다. 매사에 순리를 따른다. 그러므로 종교인, 문예인, 연구가, 학자, 효부, 효자 등에 인연이 많다. 사는 쇠퇴, 학예, 기술, 죽음, 신용, 대리, 부부인연이 약함을 산징한다.

 

[판단]

1. 비겁이 사면 형제자매의 발전이 지지부진 하다.

 

2. 식신이 사면 의식주와 가정생활에 곤란을 겪는다.

 

3. 재성이 사면 재물에 어려움을 겪으며 처와의 인연도 박하다.

 

4. 관성이 사면 직위는 낮고 명리를 구하기 어렵다. 여명은 남편과 생리사별을 하게된다.

 

5. 인성이 사면 부모덕이 어뵤으며 유산을 기대하기 어렵다.

 

6. 연주가 사면 윗대가 빈천하다. 부모, 자녀와의 인연이 박하다.

 

7. 월주가 사면 부모형제와 인연이 박하다. 형제자매간에 분쟁이 있고 형제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

 

8. 일주가 사이면 큰 병으로 고생 하거나 유산을 물려 받기 어렵다. 어려서 부터 병약하고 생기가 없고 부모가 일찍 죽는 경우도 많다. 중년 이후에는 운세가 호전 된다. 예술과 학술에 종사하면 좋다.

 

9. 시주가 사가 되면 자식연이 좋지 않고 만년이 박하다.  자녀의 봉양을 받지 못하며 대가 끊어질 위험도 있다. 양자를 둘 가능성도 있다.

사는 쇠퇴, 학예, 기술, 죽음, 신용, 대리, 부부인연의 약함을 상징한다.

 

 

묘(墓)

 

사주에 묘가 있으면 부부의 인연이 쉽게 변하고 중년부터 운세가 하강한다. 그러나 경제관념이 발달하므로 축재할 수 있어서 늙어서 생활의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그런데 인색한 구두쇠가 되기 쉽다. 침착하고 매사 안정을 위주로 한다. 건전한 소비생활로서 실리에 밝다. 그러다 보니 자연 인색하다. 전당포, 창고업, 관리인, 종교인, 장의사, 회계사 등에 인연이 있다. 묘는 욕심, 세심, 축적, 고독, 계획, 종교, 계승, 이별, 부부인연의 바뀜을 상지한다.

 

[판단]

1. 비검이 묘이면 형제자매가 편안하게 잘 있으나 간혹 입원이나 감옥에 가고 죽는 수도 있다.

 

2. 식신이 묘이면 재물을 모으나 파재나 요절하기도 한다.

 

3. 상관이 묘이면 기예로써 명성은 얻으나 하루 아침에 명예가 실추 된다.

 

4. 재성이 묘이면 재물을 모으기만하고 쓸 줄을 모르니 수전노가 된다.

 

5. 관성이 묘이면 직위와 명리는 기대할 바가 못된다.

 

6. 인성이 묘이면 조상의 정기를 벋으며 윗사람으로 부터 혜택을 입는다.

 

7. 연주가 묘이면 조상을 잘 모신다. 가운이 번창하고 차남이 삼남으로 출생해도 가산을 상속하며 고향과 가정을 사랑하고 지역발전을 위해 노력한다.

 

8. 월주가 묘이면 부모, 형제, 배우자 연이 박하고 다른사람 때문에 지출이 많다. 월과일이 붕충(진술충)이면 부자집에 태어나 재록이 풍부하고 호운이 늦게 온다.

 

9. 일주가 묘이면 부모형제, 배우자 연이 박하고 고향을 떠나 살게 된다. 주거가 일정치 않고 중년이후에 쇠퇴한다. 그러나 빈곤한 가정의 태생은 중년 이후로 향상 된다. 부부인연이 바뀔 위험이 많다.

 

10. 시주가 묘이면 신체가 허약하고 자식으로 인한 걱정이 많다. 어려서 몸이 허약하나 재물복은 많다.

 

자기 사주를 보고 우산을 준비 하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