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위하여

12운성 절, 태, 양에관한 이야기 본문

우산을 준비하는사람

12운성 절, 태, 양에관한 이야기

새 아침 2017. 11. 17. 15:54
반응형

십이운성 절, 태, 양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 합니다.

 

 

절(絶)

 

절(絶)이 있으면 해당 육친이 불안하다. 주거와 직업이 변화가 쉽고 타인의 감언이설을 믿고 실패하기 쉽다. 극도로 쇠약한 운기를 대표 하므로 재물과 명예를 감당하기 힘들며 월지가 절이면 인수와 비견을 쓰고 재관은 감당하기 어렵다. 단절, 이별, 고립, 파재, 인색, 호색, 경박 등의 경향을 대표하며 경제적 불안이 있다. 비록 부귀한 가문 출신일지라도 결국 파산할 우려가 있다. 타인을 비방하고 처자와 불화 하거나 처자의 신체가 허약하다. 천성적으로 호색하여 색으로 인한 망신을 한다. 부모형제와 인연이 약하고 직업에 있어서는 유흥업이나 요식업으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인정에 약하고 실리면에서 손해를 보게 되며 여자는 남자의 꼬임에 빠져 몸을 망치기 쉽다.

철학가, 교육가, 사색가 등에 인연이 있다. 절은 소심, 격정, 불안정, 비지속성, 변동, 단절, 색정으로 인한 실패를 상징한다.

 

[판단]

1. 비겁이 절이면 형제의 덕이 박하다.

 

2. 식신이 절이면 의식주 생활에 곤란이 많고 활동력도 약하다. 여명은 자식 문제로 고심이 많다.

 

3. 재성이 절이면 재물로 인한 애로가 많고 남명은 처로인한 애로(질병, 사망, 외도 등)가 많다.

 

4. 관성이 절이면 직위가 보잘것 없고 명예를 얻기 어려워 조직사회에서 성공하기가 불가하다. 남명은 자식복이 박하고 여명은 남편복이 박하다.

 

5. 인성이 절이면 부모덕이 없다.

 

6. 연주가 절이면 타향살이에 부모덕이 없다. 어려서 부모곁을 떠나 독립해서 삶을 영위한다. 부모형제와 인연이 없으므로 고난과 좌절이 끊이지 않으나 말년에는 평안하다.

 

7. 월주가 절이면 육친 무덕하고 매사 손실이 많다. 고립적이고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며 항상 불만이 있고 고뇌가 끊이지 않는다.

 

8. 일주가 절이면 주관이 없어 남의 주관에 흔들리고 타향살이 하며 경솔하여 화를 당하기 쉽고 배우자연이 박하고 화목하기도 어렵다.

 

9. 시주가 절이면 자식연이 박하다. 여자의 경우는 조급하고 경솔하며 극부할 우려가 있다. 아들을 두기가 어렵다.

 

 

태(胎)

 

사주에 태가 있으면 어려서 몸이 허약하다. 평소에 과묵하지만 술을 먹으면 수다 스럽다. 주관이 약하여 남에게 의지하려고 하고 정적인 업무는 잘 하나 동적인 업무는 잘못한다. 꽃집, 산부인과, 탁아소 등과 인연이 있다. 태는 의존성, 불안, 평화, 권태, 질병(어릴때), 임신, 술주정, 수다, 운기의 쇠퇴 등을 상징한다.

 

[판단]

1. 비겁이 태이면 형제나 동료로 인하여 발전의 동기를 부여 받는다.

 

2. 식신이 태이면 의식주 생활이 향상되고 여명은 잉태 한다.

 

3. 재성이 태이면 재산이 늘거나 처가 잉태하게 된다.

 

4. 관성이 태면 직무상 발전이 있다.

 

5. 인성이 태면 연구정진하고 학문적 발전이 크다.

 

6. 연주가 태이면 어릴때 부모에게 변화가 있었고 조상은 발전 하였다. 부모와는 인연이 없어서 자수성가 한다. 가정이 복잡하고 늙어서는 자손의 봉양을 받지 못하고 남의 집에 얹혀서 산다. 체질이 허약하다.

 

7. 월주가 태이면 계획을 자주 바꾸고 청년기에 직업 변동이 많다. 중년이후에 전업하고 권태를 잘 느껴서 한 가지 일에 전념하지 못한다.

 

8. 일주가 태이면 어릴때 허약하고 고생이 많았으나 중년 이후부터는 건강해 진다. 부모형제 등 육친에 대한 인연이 박하고 직업을 자주 바꾼다. 여자는 시어머니와 갈등이 심하다. 남자는 몇번이고 재혼하고 직업도 자꾸 바꾼다.

 

9. 시주가 태이면 자식이 부모의 업을 이어받지 못한다. 자녀가 본인의 전업을 변경하고 헤어져 산다. 말이 많아 수다스럽고 감정의 기복이 심하다.

 

 

양(養)

 

생가와는 인연이 박하고 양자로 가는 수가 많으며 사교적이고 색정 때문에 실패한다. 대기만성 형이며 재물복도 나이가 들어야 성취가 가능하다. 온건 착실하며 낙천적인 기질이 있다. 남을 이끌어갈 수완은 부족하다. 요양소, 양로원, 양어장, 사육장 등에 인연이 있다. 양은 인내력, 노고, 양자, 화합, 친가와의 인연 부족 등을 상징한다.

 

[판단]

1. 비겁이 양이면 형제들이 온순 선량하고 이복형제가 있다.

 

2. 식신이 양이면 의식주에 관한 사육, 재배 등으로 성공한다.

 

3. 상관이 양이면 조모에게 양육되기 쉽다.

 

4. 재성이 양이면 재물이 풍족하지 못하다.

 

5. 관성이 양이면 명리가 별로 높지 않다.

 

6. 편인이 양이면 이복형제와 계모가 있다.

 

7. 연주가 양이면 아버지가 양자이거나 자신이 양자가 된다. 연상의 연인과 인연이 강하다.

 

8. 월주가 양이면 중년 이후에 호색으로 재난을 자초 한다. 무례지형(자묘형)이 있으면 모자간의 분쟁이 심하다.

 

9. 일주가 양이면 유아때 생모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자란다. 호색하고 재혼한다. 그러나 호방하고 위협적인 기질이 있고 인격이 원만하고 인정이 많은 사람도 가끔 있다. 여자의 경우 경진일에 태어나면 극부하거나 남편이 하는 일이 잘 안풀린다.

 

10. 시주가 양이면 만년에 자녀의 효양을 받는다. 형충이 되면 그렇지 않다.

 

본인의 사주를 자세히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런후에 우산을 준비 하시길...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