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위하여

12운성(십이운성, 포태법)에 대하여 알아보기 본문

우산을 준비하는사람

12운성(십이운성, 포태법)에 대하여 알아보기

새 아침 2017. 10. 30. 11:18
반응형

십이운성(12운성, 포태법)에 관하여 알아보기 전에  12운성은 비교적 중요한 분야를 차지히기 때문에 여러번에 나누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제일먼저 알아 볼 것은 십이운성의 기원이 무엇인지 부터 알아 봐야 도움이 되리라는 생각에 그 기원 부터 알아 보도록 합니다.

 

 

 

 

 

천간 10글자, 지지12글자로 사주를 세우게 되는데요. 천간은 하늘의 기운이며, 지지는 땅의 기운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천간의 오행은 방위가 있지만, 방위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봅니다. 하지만 지지는 방위와 오행의 의미를 동시에 지니고 있습니다. 십이운성은 목화금수의 사기가 네개의 방위를 순환하면서 어떻게 기가 성하고 쇠하는지,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십이운성 보다 먼저 등장했던 것은 '왕상휴수사'이론 입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기운 즉, 계절과 방위에 따라 나타나는 기의 흐름을 설명한 것이지요. 왕은 왕성하다는 의미 입니다. 기세가 가장 정점인 것을 표현한 것 이지요.상은 성장하고 있는 단계 입니다. 왕이 왕이라면 상은 재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휴는 정점을 지나 기세가 정점을 지나 기세가 서서히 쇠락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왕이 자리에서 물러나 휴식을 취하고 있는 상태라고 말할 수 있지요. 수는 왕기와 맞서는 상황입니다. 감옥에 갖혀 억압받고 있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는 왕기의 강력한 기세로 크게 악화 되어서 기가 흩어진 상태로 보시면 됩니다.

 

즉 왕상휴수사는 자연의 리듬(춘하추동)의 변화를 우리 삶에도 적용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화기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오행 중 화는 계절상 여름에 속하지요. 그러니 여름이 왕의 단계 입니다. 가을이 되면 수의 단계가 되고, 겨울이되면 사의 단계가 됩니다. 봄은 상이지요. 보통 여름과 가을 사이를 장하라고 부릅니다. 바로 이때 !  여름과 가을 사이가 휴가 됩니다.

또 목기의 경우는 봄이 왕이 되고, 겨울이 상이 되겠지요. 이렇듯 오행의 기운이 그것을 잘 펼칠 수 있는 시기가 왕이 됩니다. 이는 당나라 시기를 거치며 불교의 십이인연법의 연향을 받아 십이운성으로 확장 되었다고 합니다.

 

 정리 하자면 천간은 하늘이 펼처진 기운이므로 방향에 특별히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것. 지지는 땅에 펼쳐지는 기운이므로 오행과 방향이 함께 영향을 준다는 것. 그래서 계절의 변화가 지지에는 중요하며, 이를 왕- 상 - 휴- 수 - 사의 다섯 단계로 표현 했다가 후에 12단계로 확장한 것이 십이운성인 것 입니다. 십이운성을 통해 나의 일간(타고난기운)과 지지의 관계를 살펴보는 방법이 십이운성을 알아보는 이유 입니다.

 

12운성에는 포(절),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 로 구분하며 아래 두개의 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십이운성은 포(절), 태, 양, 생, 욕, 대, 관, 왕, 쇠, 병, 사, 묘(장)로 구성 되어 있는데, 중요한 세단계는 생, 왕, 묘입니다. 생은 태어남을 의미하고, 왕은 왕성함을, 묘는 죽음을 의미 하기 때문에 이를 3대 전환점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십이운성의 흐름을 살펴보면 자라나고 왕성해 지고, 쇠퇴하고, 소멸하는 자연의 법칙이 인간의 삶에도 적용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세상에 나와 처음으로 목욕하며 험한일을 겪고, 성장해서 자신의 일을 하기 시작하고, 자신의 자리에서 힘을 펼치고, 왕성했던 시기가 지나면 차츰 힘이 빠지고 쇠약해지며, 마침내는 죽어 땅에 뭍히는 과정을 통해 한 사람의 출생에서 죽음의 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사주로 해석이 될 때에는 주로 길흉화복으로 촛점이 맞춰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십이운성에서 가장 길 하다고 보는 것이 무엇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건록과 제왕으로 보기도 합니다. 십이운성 해석에는 취직시험에 합격하고 현직에서 자신의 몫을 다 하는 것이 좋은 삶이다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고 봅니다.

 

인생은 공수레 공수거 인것을 . . . . .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