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우산을 준비하는사람 (144)
행복을 위하여
오행의 과소의 현상은 여러가지 형태로 다가오는데 명리를 알아간다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 인것 같습니다. 금(金)에 대하여 포스팅 합니다. 오행 중에서 제일 강한 것이 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을 일컬어 숙살지기라 부르고 있으며 사물에 있어서는 결실의 속성으로도 보고 있습니다. 한편 오행 중에서 육수라하여 상징적인 동물을 배속 시켜 놓은 것인데 거기서 보면 금성이 지닌 동물이 현실적으로 인간의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무서운 것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즉, 목에 청룡, 화에 주작, 토에 등사와 구진, 금에 백호, 수에현무가 그것 입니다. 수목화토에 들어 있는 짐승들은 신비감만 느끼게 할 뿐이지만 금성에 들어 있는 백호는 핏빗 상해를 연상케 하는 무서움이 깃들어 있는 것입니다. 때문에 명운에서 금성으로 태어나 ..
오행이 맣고 적을떼의 현상 애하여 포스팅을 하고 있는데요 . 오늘은 그 중에서 토(土)에 대하여 포스팅을 합니다. 土는 만물을 생성하는 산모와 같습니다. 금 목 수 화 토 오행 중에서 토는 그 마지막에 해당되고 그 내면에 금 목 수 화를 다 지니고 있는 것이 토 입니다. 토 자체를 음양으로 가르기 이전에 큰 틀에서 수 를 음성으로 화를 양서으로 보는 한편 토를 중성으로 보는경우도 있습니다. 마치 양성자, 중성자, 은성자로 분류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특히 역학에서 오행에서 말하는 토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인 흙으로 보아도 좋고 지구의 속성 자체로 생각할 수도 았습니다. 역학에서 토를 만물의 산모로 보는 이유는 목이 토가 있어야 뿌리를 내리고 화가 토에 의지하여 기를 머물게 할 수 ..
사주에 오행이 편중되어 있으면 어떠한 현상이 나타날까?에 대하여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화(火)성에 대하여 이야기 합니다. 火는 글자 그대로 양기를 말하고 있습니다. 모든것에 대한 정신이며 생명이 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오행론에ㅔ서 말하는 화는 기를 음양으로 가를 때의 양 자체는 아닙니다. 왜냐 하면 일단 음양에서 파생한 오행속에는 그것이 비록 금수와 같은 같은 음체라 하더라도 양과 음의 기운은 병존되어 있는 것이고 양체인 목화속 역시 음의 기운이 섞여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목에는 갑을이 있고 화에는 병전이 있으며 토에는 무기가 있고 금에는 경신이 있으며 수에는 임계가 있음이 그것을 말해 주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천간을 오행음양으로 갈라 놓은 것입니다. 오행론에서 화는 병정을 가리키고 ..
오행에서 목성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목(木)은 오행 중에서 발양의 기운을 말하고 있습니다. 즉 모두가 얼어 붙었던 추운 겨울을 지나서 삼양(양 기운이 세개) 이후의 화기로 말미암아 만물이 싹트고 자라나는 그 표상을 목이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봄철을 목의 계절이라고 하고 있고 일간이 목인 사람이 봄철에 출생한 것을 제일 왕하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오행의 생극을 논 하면 목을 생하는 것이 수이고 목이 생하는 것이 화이며 목을 극하는 것은 금이고 목이 극하는 것은 토 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목을 생하는 것이 수이더라도 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오히려 목을 병들어 죽게 만들고 금이 비록 목을 해치는 오행일 지라도 금이 없이 목만 무성하면 쓸모 없는 나무가 되는 것과 같은 이치가 오행의 원리이기 때문..
오행의 다과(多寡)에 따른 통변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입니다. 기에서 분화 한 것이 음양이고 음양에서 파생한 것이 오행이며 그 오행은 부단하게 운행을 하고 있으며 여러가지 변화를 이르키고 있습니다. 인간의 운명도 그 중의 하나로 사주팔자라는 것도 결국은 음양오행을 간지로 바꾸어 놓은 부호에 지나지 않으니 천간과 지지라는 것 자체가 움직이는 기 였기 때문에 그 속성은 일정한 것이라도 강약 면에서 항상 차이가 날 수 밨에 없습니다. 봄에는 왕성하였던 목이 가을에는 쇠약해지고 가을에 강하였던 금기가 봄철이 되면 반대로 약해지는 오행의 원리가 그것 입니다. 또한 같은 시기의 오행이라도 다른 기운의 다과에 따라 강약의 차이는 생길것 입니다. 가을에 태어난 사람이 일간도 금으로 출생을 하였다면 본래 기운은..
오늘은 일요일이고 해서 심심풀이로 남녀가 결혼하는 시기에 대해서 찾아봤네요. 요기에 그 이야기를 좀 올리려 합니다. 즐거운 휴일 되세요. 사주에서 결혼운은 용신과 직결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듯 합니다. 억부용신과 조후용신 그리고 격국용신을 살펴서 그 사주의 특성에 따라 결혼 시기를 예측합니다. 그 중에서도 조후용신이 시급할 경우에는 조후가 이루워지는 대운이나 년운에 가장 결혼 하기가 쉽다고 합니다. 억부용신에서는 신왕한 사주에서 남자의 경우에는 식상운이나 재운에 결혼하기 쉽고, 여자의 경우는 관살운이나 식상운에서 결혼하기가 쉽다고 합니다. 신약한 경우에는 남녀 모두 인성운에 결혼하기 쉽다네요. 중화된 사주의 경우에는 격국용신에 해당하는 운에 결혼하기 쉽답니다. 아므튼 용신에 해당하는 대운이 들어오거나 용..
오늘은 토요일이고 날은 몹시 춥네요. 따뜻한 방에서 오늘은 편한 마음으로 가볍게 자식을 논해 보려 합니다. 좀 어려울 수 있는 이야기가 나오는 데요 . 그냥 그러려니 하고 쓱~ 지나가면 됩니다. 사실 저도 어렵거든요 음일 상관 시자(是子)하고 음일 식신 시녀(是女)로다. 양(陽)일 식신 시자하고 양일 상관 시녀로다. 여명에서 식상은 자식성이니 식상이 길신이면 자식덕이 있고 식상이 흉신이면 자식 덕이 없다. 신왕하고 식상이 투출하거나 녹근이 되면 그 자녀가 귀하게 되고 식상이 천월덕이면 자녀가 선량하다. 신왕사주에 식상용재가 되면 자식이 귀하게 되고 신왕 사주에 식상생재가 자식 많고 부자가 된다. 신왕사주에 식상왕은 지식복이 많게 되고 신왕사주에 관살 왕은 다자이며 현량하게된다. 신왕 재왕 그 사주는 다자..
사주라는 것은 우리가 인생을 사는데있어서 한폭의 그림을 그리는 것과 같습니다. 한 폭의 그림을 그릴려면 사각 도화지 한장에 밑그림이 있습니다. 사각도화지 한장에 산을 세개 그려놓은 것 입니다. 산을 세개 그려 놓았는데 뫼산자처럼 작은산 하나, 큰산하, 그리고 또 작은산 하나. 그렇게 산 세개를 그린것이 사주라고 합니다,. 뫼산(山)자 사주는 인생이라는 그림 한폭의 30%를 차지 합니다. 이 밑그림이라 하는 것은 그림 한폭의 30%를 차지 합니다. 이 30%의 그림은 내가 이세상에 올때 가지고 오는 것 입니다. 우리가 가지고 온 이 밑그림을 놓고 세상을 살아가는 것입니다. 세상을 살아가는데 이사주를 잘 활용하면 아주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활용을 잘 하지 못하고서 사주대로만 살아간다면 불행한..
십이운성 절, 태, 양에 관한 이야기를 시작 합니다. 절(絶) 절(絶)이 있으면 해당 육친이 불안하다. 주거와 직업이 변화가 쉽고 타인의 감언이설을 믿고 실패하기 쉽다. 극도로 쇠약한 운기를 대표 하므로 재물과 명예를 감당하기 힘들며 월지가 절이면 인수와 비견을 쓰고 재관은 감당하기 어렵다. 단절, 이별, 고립, 파재, 인색, 호색, 경박 등의 경향을 대표하며 경제적 불안이 있다. 비록 부귀한 가문 출신일지라도 결국 파산할 우려가 있다. 타인을 비방하고 처자와 불화 하거나 처자의 신체가 허약하다. 천성적으로 호색하여 색으로 인한 망신을 한다. 부모형제와 인연이 약하고 직업에 있어서는 유흥업이나 요식업으로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인정에 약하고 실리면에서 손해를 보게 되며 여자는 남자의 꼬임에 빠져 몸을 망..
오늘은십이운성의 쇠, 병, 사, 묘에 관한 설명입니다. 쇠(衰) 월지나 일지에 쇠가 있으면 가정적이나 욕망이 적다. 의심하는 경향이 있고, 직업은 학자, 종교가 등에 적합하다. 인정이 많은데 인정에 끌려 남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여 피해를 본다. 특히 재정보증을 서다가 파산을 하므로 주의 해야한다. 쇠가 있으면 성격은 온순, 담백하고 의지가 박약하여 불안해 하기도 한다. 인내력이 부족하여 용두사미가 되기 쉽고 동정심이 강하다. 장년에 이르러 모든 직에서 물러나야 하는 시기를 의미 하므로 내실을 다지고 현상 유지가 좋다. 온순하고 진실적이고 타협적이다. 쇠는 신중, 보수적, 쇠퇴, 계승, 시기심, 학자, 종교인을 상징 한다. [판단] 1. 비겁이 쇠가되면 형제가 쇠퇴한다. 2. 재성이 쇠가되면 기업이 쇠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