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위하여
오행이 많고 적으면, 화(火)성에 대하여 본문
사주에 오행이 편중되어 있으면 어떠한 현상이 나타날까?에 대하여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화(火)성에 대하여 이야기 합니다.
火는 글자 그대로 양기를 말하고 있습니다. 모든것에 대한 정신이며 생명이 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오행론에ㅔ서 말하는 화는 기를 음양으로 가를 때의 양 자체는 아닙니다. 왜냐 하면 일단 음양에서 파생한 오행속에는 그것이 비록 금수와 같은 같은 음체라 하더라도 양과 음의 기운은 병존되어 있는 것이고 양체인 목화속 역시 음의 기운이 섞여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목에는 갑을이 있고 화에는 병전이 있으며 토에는 무기가 있고 금에는 경신이 있으며 수에는 임계가 있음이 그것을 말해 주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천간을 오행음양으로 갈라 놓은 것입니다.
오행론에서 화는 병정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조화력을 지닌 큰 의미의 양이라기 보다는 단순한 햇빛과 같은 불덩어리와 같은 열기의 기운을 가리켜서 화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화성 역시 명조에서 그 어울림에 따라 여러가지 현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1. 강화(强火)
병정화로 태어난 사람이 사오미월에 태어나 득령하고 또는 인묘월이 되고 또 다른 천간 지지에 병정사오 등이 많으면 강화가 됩니다.
사주의 구조가 이러한 사람의 팔자는 일단 좋지 않습니다.
모든것을 태워 버리고 말려버리는 화기의 특성에 의하여 혈육이 무력해 지고 생애 또한 삭막해 지기 때문입니다.
강화는 힘을 쓸 수 있는 금수토가 들어 있든지 운에서 그것들을 만나야만 좋습니다.
만일 금기가 유기하여 도와준다면 재성인 금을 취하여 부를 누릴 것이며 수기가 유력하여 화를 제압한다면 관성인 수로 인하여 세상에 이름을 떨칠것이고 토기인 식상이 윤택하다면 일간의 기를 잘 설하여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니 인물이 될것입니다.
2. 약화(弱火)
일간이 병정인 사람이 동절에 출생하였거나 춘하절에 출생 하였더라도 명조에 금수토가 많은때 약화가 됩니다.
몸이 약하면 힘을 쓰지 못하듯 약화로 태어난 사람은 출세하지 못하고 곤고한 생애를 보내거나 단명한 사람이 됩니다.
약화가 목을 만나면 화를 생하므로 유력하게 되고 화를 만나면 동기를 만나 약기를 모면할 수 있으니 발전할 수가 있어 좋습니다.
그러나 금을 만나면 약한 기운이 흩어져 맥을 못쓰게 되고 수를 만나면 병자가 독약을 마시는 꼴이니 생명이 위태 합니다.
약화가 식상을 만나면 성공할 수는 있지만 약토를 만날경우 극설교가 하여 스스로 함정에 빠져버리는 난관에 직면하게 됩니다.
3. 치화(熾火) 熾: 상할치
득령한 화가 목이 많고 금수가 약하면 치화가 됩니다. 치화는 미약한 토기가 있더라도 맹렬한 화염에 조토가 되는 것이므로 모든것을 고사시켜 버리는 결과를 맞이하기 쉽습니다. 부모를 일찍 여의거나 형제가 고단하며 처자권속도 부지하기가 어렵게 되는 것입니다.
치화의 원인은 일간인 화를 생하는 목으로 인한 병이니 운에서라도 금을 만나 목을 제하는 것이 좋고 금과 함께 식상인 습토를 만나면 더욱 좋습니다.
치화가 식상인 습토와 금 재성을 만나면 부와 명예를 누릴 수 있으나 같은 토라도 조토 식상은 치화인 일간을 더욱 곤경에 빠트립니다.
수운을 만나는 것이 역시 염열을 식혀주니 팔자가 피는 것이지만 그것이 만일 약수일때는 작은 물이 왕화를 범하는 것으로 의외의 재난에 휘말리게 되어 관재상신에 직면하게 됩니다.
4. 회화(晦火) 晦 : 그믐 회
사주에 습토가 많아 화의 기운이 심하게 빠져나가는 경우를 회화라고 합니다. 마치 불꽃이 사그라지어 꺼져가는 불과 같은 상태 입니다.
회화는 목이 있어 토를 제하고 화를 생해주는 것이 우선이며 목과 멀리 떨어져 있는 금이 토를 설하여 주는 것도 좋으니 재성인 금이 빛을 발하는 것이므로 재물과 영화가 동시에 발생할 것 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만일 수가 와서 제화 한다면 재물은 파하고 명을 재촉하게 됩니다.
이 경우에서도 조토는 회화를 부조하여 좋으나 습토는 일간인 화기를 설하여 금을 생하니 결과적으로 수기를 복돋아 주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5. 식화(熄火)
화는 금을 녹이는것 이지만 금이 너무 많으면 오히려 화가 꺼져버리므로 금이 많아서 꺼질 지경인 화를 식화라고 합니다.
목으로 생화 하고 금의 기운을 빼면 발신하여 출세할 것이며 동기인 화기로 도움을 주어도 성공하게 됩니다.
그러나 식상인 토가 있어 생금시키면 일간이 활동을 잘 못하여 화를 당하게 되는 경우인데 수가 있어 습기가 가중되어 있을때에는 파재, 손명의 대화를 모면하기가 어렵습니다.
화 일간에 금이 많은 사주는 재다신약이 되는데 이런 사람은 대개의 경우 욕심만 많고 눈이 어두워 실패를 자초하는 경우가 많으니 능력이 모자란 사람이 재물을 보니 욕심이 생기나 오히려 재물로 인한 화를 당하기 쉽습니다.
어렵네요 ^^
'우산을 준비하는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행의 과소의 현상 중 금(金) 대하여 (0) | 2017.11.23 |
---|---|
오행이 많고 적을때 현상 토(土)에 대하여 (0) | 2017.11.23 |
오행의 다과 목(木)성에 대하여 (0) | 2017.11.20 |
오행의 다과(다寡)에 따른 통변을 어떻게 할것인가에 대하여 (0) | 2017.11.20 |
남녀가 결혼하는 시기에 대한 이야기 (0) | 2017.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