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우산을 준비하는사람 (144)
행복을 위하여
삼형이라는게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지지가 서로 만났을때 작용중에 삼형이 있다. 충(沖)보다는 약하지만 운기중에서는 나름대로 대단한 작용력을 갖비고 있는것이 이 삼형이므로 주의 깊게 보아야 할것 이다. 지세지형 (持勢之刑) 무은지형(無恩之刑) 무례지형(無禮之刑) 자형(自刑) 삼형의 형성원리에 대한 "음부경"해석을 보면 삼형은 방합과 삼합에서 나왔다고 한다. 방합과 삼합은 합중에서도 최고의 합이며 합의 극에 해당하는 것이다. 자연의 원리는 본래 기만즉경, 과만즉초손 이라고하여, 그릇이 차면 넘치고, 너무 채워지면 손해를 부른다고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최고의 합이며 극의 합에 해당하는 방합이나 삼합에 또다른 기운이 추가 된다면 기만즉경, 과만즉초손의 상황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원진(怨嗔)은 "원망할원, 성낼진"을 쓰는데요. 우리가 흔히 궁합을 볼때 무슨띠와 무슨띠는 궁합이 좋다더라 , 아니다, 무슨띠는 만나면 안된다 등등 무수히 많은 말들을 만들어 내는데요. 이런 말들은 대개는 이 원진을 보고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랍니다. 그래서 충이니, 합이니 하는것을 하다보니 지루해서 중간에 끼어들게 되었네요 오늘은 가볍게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원진의 성립 원진이란충이되는 지지의 전.후에 해당되는데, 양지(陽支)는 충이되는 다음자가 원진이고, 음지는 충이되는 지지 앞 글자가 원진입니다. 즉 子는 양지로서 충이되는 午자의 다음글자 未가 원진에 해당되고 인은 신 다음의 유, 진은해, 오는 축, 신은묘, 술은 사가 원진이 됩니다. 반대로 음지인 丑은 상충되는 未의 앞글자인 午가 원진이 된다는..
어제는 방합과 삼합에 대하여 알아 보았는 데요 , 오늘은 천간과 지지의 충에 대하여 알아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여기 명리대전을 가지고 알아 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천간의 충(沖) 충(沖)자의 사전적인 명칭은 '화할 충, 얼음 끄는 소리 충, 어릴 충'이다. 그러난 역리학 또는 명리학에서는 "충돌할 충(衝)"자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간지의 여러 작용 중에서도 그 작용력이 제일 강한 것이기에 사주의 원국이나 운세 속에서 충이 들어 있으면 대개의 경우 최흉최악의 것으로 계산 하도록 되어 있다. 학자에 따라서는 천간 충의 경우 그것을 충으로 보지 않고 극(剋)으로만 보는 경우도 있다. 합은 여섯번쩨끼리 합하였는 데 충은 일곱번째 자의 충을 일으키기 때문에 칠충이라고 한다. 합의 구성원리보다 특별하게..
오늘 포스팅은 지지의 방합과 삼합에 대하여 하려 합니다. 이제 사주팔자에 대한 기초적으로 알아 보기 시작 하는 것입니다. 제가 지식이 많아서 이 포스팅을 하는 것은 아니고 공부를 하기 위해서 포스팅을 하고 있는 것임을 거듭 말씀 드립니다. 그러므로 그때 그때 암기가 필요한 것은 저도 암기 하면서 여기에 올리고 있음을 이해 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오늘은 방합과 삼합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방합(方合)= 계절합 한 마디로 계절이 응축되면 가장 힘이 쎄다는 이야기. 인묘지, 사오미, 신유술, 해자축이 그것 인데, 그것들은 순서대로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을 나타내는 말들이다. 그리고 봄은 목의 계절이고, 여름은 화의 계절이고, 가을은 금의 계절이고, 겨울ㅇ은 수의 계절이라고 설명된다. 4계절은..
여기서 부터는 사주팔자에 대한 이야기가 조금씩 복잡해지는 모양새입니다. 천간과 지지가 복잡하게 얽혀 그 작용을 나타나게 되는 데 그 질서를 알기 위해서는 우리 선현들이 만들어 놓은 그 질서를 이제 부터 알아 보도록 하겠는데. 조금씩 힘들어 지고 있는 모습이넹 . 그렇지만 암기할것은 암기 하고 이해할것은 이해 하면서 천천히 나아가여 하는데 오실분은 오세요. 간지(천간과 지지)는 그것들이 서로 만나는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 작용을 일으킨다. 그 작용들중에서 거의 공식화 된것을 우선 알아보는 시간으로 하겠다. 그것은 합(合)과 충(沖), 형(刑)과파(破), 그리고 해(害)가 있다. 한마디로 말하면 간지의 형충파해와 합이 되는데, 오늘은 천간지지합(天干地支合)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 천간합(天干合) = 天合(六..
오행은 본래 음양의 자식이며 그 분산 이기 때문에 유형의 존재이든 무형의 존재이든 간에 그것들이 들어있지 않은 곳은 없다. 하지만 그냥 들어 잇는 것이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다른쪽을 도와 주기도 하고, 해치기도 하고, 화합하기도 하는 여러가지 작용을 하게 된다. 그것을 상생, 상극, 비화라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1. 상생작용 오행을 생성 순서로 보면 수가 먼저이고, 연운의 시작으로 보면 목이 먼저이다. 그러난 어느쪽을 먼저 잡든간에 상생의 작용과 그 관계는 똑 같도록 되어 있다. 즉 수를 먼저 잡도록 하면 수생목,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로 이어지며 다시 수생목으로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오행에서 어디에서 작용을 하든 그 생하는 작용이 발생하는 것은 마찬가지 인데 왜 그..
지지와 계절에 대하여는 무슨달에 무슨 지지가 붙고, 어떤달에 어떤지지가 붙는지에 대한 생각만 강하게 머리속에 자릴 잡고 있응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계절을 단위로 해서 보는 법을 설명하도록 합니다. 1년은 4계절로 이루워져 있고, 한 계절은 3개월씩으로 되어있다. 그러니까 지지 역시 석자가 한계절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의 그림에서는 앞에서 공부한 기억을 더듬어 1월의 자리에 寅이 붙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거기에서 한해의 봄이 시작이 되고, 3월인 辰의 의 자리에서 봄이 끝나도록 되어있다. ㅂㅗㅁ철 3개월의 지지를 읽어보니까 "인묘진"이 도니다. 바로 그것이다. 굳이 1,2,3월이라고 말하지 않고 인묘진 또는 인묘진월이라고 해도 그것이 봄철의 3개월을 말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도록 한..
음양오행이란 음양이란 우주와 생명탄생을 의미하는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으나 오행이란 음양에서 파생된 보다 구체작이고 실질적인 기질에 대한 의미를 담은 이론으로거 이러한 오행에 대한 탐구는 인간 이해에 대한 가장 깊고 심오한 접근이 된다. 오행이란 ? 무극의 상태에서 일기가 되고 또 이것은 태극으로 통일체가 되어 다시 태역, 태초, 태소의 단계를 거쳐 태극으로 발전 되었고 음과 양이라는 두가지 기운이 갈라지게 되었는데 그 음양은 각각 다시 분합작용을 일으킴으로써 다섯개의 새로운 기질이 발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오행론과 현대 과학 태양을 중심으으로 수 많은 행성들이 있고 그들은 공전과 자전을 하며 별들마다의 기가 상대성을 이루며 일정한 간격을 유지 하고 있는데 지구와 가까이서 직접적으로 기를 미치는 행성은 ..
오행중 마지막으로 수(水)에 대하여 그 원리와 작용을 포스팅 합니다. 수(水) 1. 원리 : 대물림, 융통성, 적응력, 휴식, 정력, 섹스 수인즉 : 생(生)이라 하느니, 수생여환(水生如環)이라! 수의 , 삶 사랑의 정신으로 만물은 죽지 않고 대를 이음 하는 구나 ! 水는 천지만별의 새로운 생(生)을 시작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생수의 힘은 지칠줄 모르는 유동성과 태연작약한 무동성의 일치에서 항상 새롭고 애틋한 생명으로 이음질하는 직분을 담당하게 된다. 죽은 물이라도 알맞은 온도나 좋은 환경에 갖다 놓으면 정화되어 다시 살아난다. 그래서 물은 부패는 되더라도 소멸되지는 않는다. 증발되어 다시 물로 살아나서 떨어진다. 살아있는 물이 썩은물로, 썩어 있는 물이 다시 살아있는 물로 뒤바뀔 뿐이다. 그래서 수..
간지가운데의 지지는 월(月0에 고정배치되어 있지만 천간은 그렇지가 않다. 지지가 월에 고정 배치가 되어 있는것은 그 구조가 달의 수와 같은 12지지로 되어 있기 때문인데, 역리학에서 12라는 숫자는 원래 달의 운행도수와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역리학은 월력에 그 근거를 두고 있음을 분명히 기억하고 다은 내역을 알아보는게 좋다. 과거에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하루의 시간을 지금처럼 24시간으로 잡지 않고 간지 시간인 12시간으로 계산 하였던 것은 당시의 생활력이 음력이었기 때문이다. 우선 1년 12개월을 지지와 짝지어 보면 1월:寅, 2월:卯, 3월:辰, 4월:巳, 5월:午, 6월:未, 7월:申, 8월:酉, 9월:戌, 10월:亥, 11월:子 12월:丑 지지의 시작은 원래 子에서 부터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