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우산을 준비하는사람 (144)
행복을 위하여
식신이 인성(印星)을 만나면 일간의 편인은 식신의 편관인 칠살이며, 정인은 식신의 정관 인데, 식신은 힘과 능력과 방출하는 상품이요, 기회이며, 인성은 일간의 힘을 도우고 보필하며 능력을 키워주는 기회요, 학문이며, 어머니 입니다. 정인은 일간을 길러주는 생모이나, 편인의 계모는 일간의 식신에게 베풀고 배불리 먹여주는 것을 싫어하듯이 재롱을 부리고재능을 발휘하는 식신을 매우 싫어 합니다. 그래서 식신은 정인인 인수를 기뻐하는 반면에 편인을 보거나 만나면 고양이를 만난 쥐처럼 몹시 두려워 합니다. 식신이 편인을 보면 편관인 칠살이 되니 식신으로서는 총칼을 휘두르는 용감하고 잔인한 무관을 만났으니 꼼짝달삭을 못하고 두려워 하는 것입니다. 편인은 계모로서 시기하고, 질투하며, 미워하고 만사에 방해를 할 뿐만 ..
식신이 관성(官星)을 만나면 무슨일이 생길까? 일간의 편관과 정관을 식신에서보면 편재요, 정재의 관계이니 아내이며, 관성의 위치에서 식신은 편관과 정관의 관계로서 부부의 관계입니다. 식신은 천연이 의식주요 재능이며, 편관은 무관이요, 정관은 법과 질서를 관장하는 문관입니다. 일간이 신강하면 식신인 의식주가 풍족하고 신체와 정신이 건전하고, 예의 범절이 단정하며, 인심이 후함으로서 정관이 있고 아름다우면 공직자로서 출세하는 데는 가장 적격자라 하겠습니다. 정관은 근면 성실하고 예의 범절이 단정하나 , 편관인 칠살은 용기가 넘치고 용감하기는 하나 예의범절과 법도가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식신은 정관을 아내로 삼고 칠살은 애인으로 삼기 때문에 아내는 정숙하지만, 애인은 요염하고 오만 방자 합니다. 그와 같은 ..
식신이 財星을 만나면 식신의 위치에서는 정재는 상관이요, 편재는 식신이며, 재성의 위치에서는 식신은 정인과 편인의 관계가 가되는 데요, 식신은 생산공자이요 , 만능의 재능이요, 상품이이고, 재성은 시장으로서 식신이 재성을 먹이고 성장 시키는 인성이 됩니다. 일간의 생산공장에서 식신의 상품이 생산되고, 재성인 시장에서 식신상품의 매매대금인 돈과 거래가 됩니다. 식신이 재성을 보면 생산공장이 시장과 직결되고 상품이 신속하게 매매되어 재성인 돈과 교환되어 상품거래가 활발해져서 돈을 많이 벌게 됩니다. 식신이란 상품은 재성인 시장의 수요량과 매매량에 비례하여 증산되고 소비되는 것이 상식이니 재성인 시장이 거대하면 식신인 상품은 자연히 시장거래가 활발하게 돌아가게 되고 식신의 생산품을 증산할수록 수익이 늘어나게 ..
식신이 상관을 만나면 식신과 상관은 겁재의 관계로서 식신은 천연 과실이요 상관은 인공생산 과실 입니다. 식신은 호의 호식 이라면 상관은 악의악식 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는데 , 식신과 상관이 혼잡되면(만나면) 뭔가 부족하고 부실한 결과로 나올것 같이 보이네요. 식신이 하나만으로 만족할만한 호의호식을 누릴 수 있는데, 상관의 악의악식을 합하면 부실하고 부족한 결과로 나오니 말이죠. 식신이 상관을 함하고 취하면 자연생산 수단인 식신이 전답으로 농사를 짓고 또 한편으로는 인공생산 수단인 상관의 가공공장을 운영하게되니 눈 코뜰 새 없이 바쁜생활을 하게되겠지요. 이러면 많은 정력과 시간과 자산을 낭비하게되니 실 소득은 적을 수 밖에 없는 것인데요. 천부의 의식주인 식신이 빈약하거나 합거되어 사라지거나 충극을 당하면..
식신이 식신을 만나면 식신은 재능의 꽃이요, 니비이며, 천연의 과실이요, 재능이요, 상품이며, 의식주를 생산하는 젖줄인데 식신의 젖줄은 하나만으로 충분한데도 또 하나의 젖줄인 식신이 있다면 어떻게 될까? 식신이 길신이라고 하여도 중복되면 비견과 비견이 만나면 겁재가 되듯이 식신이 식신을 만나면 상관(傷官)으로 변질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식신이 고유의 재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인공생산 수단인 상관으로 변한 것은 식신 그 자체가 변화되었거나 이상이 생긴 것으로서 생산품이 변질되었거나 , 하나의 사업체로 흡족하지 못하여 다른 사업을 다시 시작 하거나, 한가지 재능으로는 부족하여 또다른 재능을 활용하거나, 한가지 상품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또 다른 상품을 인위적으로 개발하고 사업체를 확장하게 되고, 식신인 처가 ..
식신이 비겁을 만나면 식신은 재능의 꽃이요, 나비이며, 천연의 과실로서 비겁은 나무가지에 해당하니 나무가지가 많으면 많을 수록 꽃도 많이 피고 아름다우며 나무가지는 꽃을 기뻐하고 꽃은 나무가지가 많음을 좋아 합니다. 나뭇가지는 뿌리에서 공급하는 나무의 정기를 먹고 살듯이 , 꽃은 나무의 정기를 먹고 사는 정기의 정화요, 재능이며, 조화 입니다. 꽃이 탐스럽게 만발하려면 나뭇가지가 무성하고 나무의 원기가 튼튼하고 왕성하여야 하듯이 식신은 일간이 신왕함을 기뻐 합니다. 식신을 위주로 하여 보면 일간과 비견은 편인이요 , 겁재는 정인이 됩니다. 편인은 무정한 계모이고 정인은 다정한 어머니이므로 식신은 비견보다 겁재를 매우 좋아합니다. 일간이 신약하면 식신인 생산수단은 있더라도 힘이 없고 능력이 부족하여 활용이..
식신에대한 통변(1)에 이어 계속 됩니다. 하늘이 내린 식신을 노리고 해치는 식신의 칠살인 강적이 바로 인공의 젖꼭지인 편인입니다. 원국에 식신이 있고 편인이 있거나 운에서 식신을 보호해줄 재성이 합거되거나 충극을 당하고 편인이 힘을 얻는 관성운을 만나면 소원대로 이루워지는 만능의 젖꼭지인 식신을 불행하고 , 가난하고, 배고픈 편인의 젖꼭지로 감쪽 같이 바꿔치고 파괴하여 없애버리려는 것이 편인 입니다. 만사형통하는 식신 대신 만사불통하는 편인을 몸에 걸치니 하늘과 자연인은 그를 외면하고 모든 은총까지도 모두 한순간에 빼앗아 사라져 버리게 되니 눈물겨운 세월을 보내거나, 고아로 성장하거나, 조부 또는 처가 패망하거나, 건강이 악화되고, 식중독을 일으키고, 자녀가 가출하며, 극심하면 불구자가 발생하기도 하며..
食神의 통변 食神을 수성귀인(壽星貴人), 천주귀인(天廚貴人), 식록(食祿)이라고 하고 일간이 생하는 십성을 식신이라고 하는데요, 일간이 삶을 영위하고 생활함에 재물이 없으면 의식주를 해결하지 못하므로 재성을 양명지원(養命之源)이라고 하는데 식신은 재성인 양명의 근원을 생하므로 식신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입니다. 또 한편 식신을 수성(壽星)이라고 하는 것은 만물의 생명은 충극 받으면 수명을 지속하거나 연장시키기 어려우나 일간을 극하는 칠살을 식신이 제압함으로서 수명과 행복을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성이라고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식신은 총명, 재능, 건강, 덕망, 식복, 언변, 생산성, 건설, 풍요, 향락, 편의, 발전, 도량, 관대함 등을 나타내며 신왕하고 식신이 원국에 일위만 있고 충극이 없으며 유..
간략한 겁재의 통변 포인트 원국에 겁재가 남ㅎ으면 남명은 극처 하고, 여명은 극부하니 생리사별하게 됩니다. 원국에 겁재가 있고 운에서 겁재를 만나면 반드시 부부이별하고 사업에 실패한다고 합니다. 겁재와 겁재가 동주하면 어려서 부친을 잃고, 부부이별하거나, 빈천하며, 동업으로 성공할 수 없습니다. 겁재가 왕지에 있으면 외화내곤하며, 가정이 적막하고, 부부인연이 많이 변화되며, 금전문제로 각종 재난을 당하고, 부귀가 오래 지속될 수 없다고 합니다. 겁재와 상관이 같이 있으면 교만하고, 의기양양하며, 버릇이 없고, 겁재가 시주에 있으면 자녀가 없거나 손상된다고 하네요. 겁재와 상관이 있고 왕지에 있으면 형벌에 걸리기 쉽고, 흉기로 인한 상해를 당하기 쉬우며, 변사하거나, 단명하거나, 명예를 더럽히거나, 극빈하..
겁재가 정인(正印)을 만나면 우선 일간의 정인은 겁재의 편인 입니다. 겁재는 민첩하고 용감한 무법자요, 정인(인수 印綬)은 의식주를 제공하는 자비로운 음덕이요, 인자하신 어머니이며, 학문입니다. 정인을 만난 일간은 겁재보다는 더 강해질 것이나 신약하다면 겁재는 흉신으로 돌변할 것입니다. 신약한 일간의 겁재는 일간의 모든것을 겁탈하여 자기 배만 채우니 겁재는 점점 더 살이찌고 강력해 지는 반면에 일간은 배가 고플수 밖에 없습니다. 원국에 겁재가 있고 정인이 있어 유근하여 겁재를 제화할 수 있는 정관이 있으면 법질서를 다루는 호법의 요직 또는 두령으로서 명성을 떨치게 되니 사회의 정의와 도덕과 교화를 선양하는 언론, 교육, 종교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비범한 수완을 발휘할 수 있게 됩니다. 그 척도는 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