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위하여

오행이 많고 적을때 현상 토(土)에 대하여 본문

우산을 준비하는사람

오행이 많고 적을때 현상 토(土)에 대하여

새 아침 2017. 11. 23. 10:17
반응형

오행이 맣고 적을떼의 현상 애하여 포스팅을 하고 있는데요 . 오늘은 그 중에서 토(土)에 대하여 포스팅을 합니다.

 

土는 만물을 생성하는 산모와 같습니다. 금 목 수 화 토 오행 중에서 토는 그 마지막에 해당되고 그 내면에 금 목 수 화를 다 지니고 있는 것이 토 입니다.

토 자체를 음양으로 가르기 이전에 큰 틀에서 수 를 음성으로 화를 양서으로 보는 한편 토를 중성으로 보는경우도 있습니다.  마치 양성자, 중성자, 은성자로 분류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특히 역학에서 오행에서 말하는 토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인 흙으로 보아도 좋고 지구의 속성 자체로 생각할 수도 았습니다.

 

역학에서 토를 만물의 산모로 보는 이유는 목이 토가 있어야 뿌리를 내리고 화가 토에 의지하여 기를 머물게 할 수 있으며 금이 토에의해서 생성되고 수가 토를 바탕으로하여 수가 흐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토성도 오행의 차이에 따라 그 차이가 있릉 수 있습니다.

 

 

1. 강토(强土)

 

진술축미원이나 하절에 출생하여 토가 많으면 비겁으로 인하여 강토가 됩니다. 토가 비록 모든것을 자육하는 성질이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지나치게 강하면 과유불급이라 모든것을 묻어버리고 암매하게 되어 버립니다.

 

특히 토만 강하고 타오행이 미약하면 사람이 미련하고 둔중하여 자활력을 상실하며 부모형제에게 짐만되는 생을 살아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토기가 강한 사람은 식상인 금의 설기가 가장 좋고 강목을 만나 제토를 시켜주는 것도 좋습니다.

 

강토가 금을 만나면 자신의 능력을 잘 분출하니 수재가 되어 민첩해 지고 목을 만나면 관성을 띈것이므로 입신출세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강토가 화를 만나면 한발이 극심하여 황무지가 될 것이니 만사를 이루기가 힘들 것입니다.

 

강토는 토 자체가 강한 것이니 관성인 목으로 제토하는 것이 가장 좋은데 수 재성은 토를 물러지게 하기 때문에 목으로 제토할 때 수목이 같이 있으면 좋습니다.

 

 

2. 약토(弱土)

 

토가 실령하고 생부가 적거나 득령하였더라도 금수목이 많으면 약토가 됩니다. 약토는 운에서 화토 운을 만나면 생부를 받으니 좋겠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병액이 많고 빈천하여 고생이 심할것이며 위장병이나 악창에 고생하며 단명하게 된다고 합니다.

 

약토를 화 인성이 도우면 윗사람의 음덕으로 성공할 수 있고 학문 또한 높은 사람이 되어 훌륭한 사람이 되겠지만 목 관성만 만나면 나약한 사람이 되거나 반대로 칠살을 등에 업고 허세만 부리는 인간이 되기 쉽습니다.

 

토를 만나면 친구, 동료, 형제의  도움으로 안태를 누릴 수가 있고 금을 만나면 식상을 쓰니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줄 모르고 설치다가 패가망신하게 된다고 합니다.

 

약토가 수 재성을 보면 감당할 기운이 없어 부귀영화가 수중명화에 불과할 것이니 한숨으로 세상을 하직하게 더ㅣㄴ다고 하니 조심 하시기 바랍니다.

 

 

3. 초토(焦土)

 

사주에 화가 많으면 초토가 됩니다. 화 인성이 병이므로 수 재성이 있어 제화하고 조후를 시켜 준다면 재성으로 인하여 부유할 것이 틀림이 없지만 목 관성이 와서 화기를 돋구어 주면 관생인으로 인성이 강하여 신강한 명식은 관성의 해악이 크게 작용할 것입니다.

 

금인 식상이 와서 화토의 기운을 흩트려주면 자신의 수기가 분출되는 것이니 지혜가 있고 총명하여 좋으나 화금 상전으로 육친간에 투쟁이 많고 주위 환경이 시끄러워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초토가 동기인 토를 만나면 엎친데 덮친꼴이 되어 토가 막히는 한토가 되어 만사가 지체되고 막히는 일이 많을 것이나 그것이 윤토일 경우에는 약간의 재물을 지니며 살아갈 수가 있습니다.

 

 

4. 유토(流土)

 

사주에 재성인 수가 많으면 유토가 됩니다. 동기인 도로 제수하고 부토하면 득비이재가 되어 형제간이나 동료간에 사이가 좋아 비겁으로 인하여 재물을 얻게 되는 경우가 생기며 유토는 화로 생토함을 기뻐 합니다.

 

그러나 토가 태약한 때에 화가 들어오면 이 또한 수화상전을 일으킬 것이니 좋지가 않습니다.

 

유토가 금인 식상을 보면 병자에게서 피를 뽑아가는 것과 같으니 명을 재촉하게 되고 관성인 목을 보면 물에 빠진 자에게 악엉가 덤비는 꼴이 되니 천지가 재난으로 뒤덮이게 됩니다.

 

그러나 유토로 태어 났더라도 사주에 화토가 없는 명운에 수목을 만나면 오히려 강한 기운을 쫓아 종격의 삶을 살아가니 팔자가 좋아지는 것 입니다.

 

 

5. 경토(倾土)

 

사주에 관성인 목이 많으면 경토가 됩니다. 나무뿌리가 흙속을 파고들어 무너뜨리는 것과 같기 때문입니다.

 

토가 역하고 목이 많을 때는 가장 좋은 것이 화이며 다음으로 좋은 것이 금입니다.

 

화는 목과 토 사이를 통관하여 두 기운을 유통시켜주니 식생망극의 작용으로 목이 화가 있으면 토를 극하지 않는 것입니다.

 

화가 좋은 것은 목 화 토가 상생관게를 이루워 귀를 누리는 영화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고 식상인 금이 좋은 것은 관성 목을 극하여 일간인 토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 입니다.

 

그러나 약한 토가 금운만을 만나 토를 제하려 하면 자기의 기운도 식상인 금으로 설기 됨으로 범을 잡고 자신도 죽는 꼴이 되므로 뜻을 이루되 화를 당하기 쉽다고 합니다.

 

먼 소린지 원 .... ㅠ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