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위하여
겁재가 식신(食神)을 만나면 본문
겁재가 식신을 만나면
겁재가 식신을 만나면 겁재가 식신화(食神化)하고, 식신은 겁재의 상관으로서 겁재는 상관의 어머니요, 문서이며, 학문 입니다.
상관(傷官)은의 꽃은 아름답고 탐스럽고 화려하나 인공적으로 가공된 꽃이므로 열매인 결실을 맺지 못하는 꽃이지만 일간의 식신(食神)은 아름다운 꽃과 더불어 실수없이 열매를 맺는 참된 꽃입니다.
이 때문에 상관은 반드시 재성을 보거나 만나야 발복하고, 돈을 벌 수 있으니 , 재성을 보지 못하면 일간의 정관을 파극하는 습성이 있어 경찰을 집단 폭행하거나 데모, 반항하는 십성이 됩니다.
그래서 비겁이 있고 식신이 아름다우면 재성이나 관성을 부러워 하지 않고, 도리어 능가하는 부귀를 얻고 누리게 하며, 무엇이든 소원대로 이루워지는 만능의 재능이요, 예술이며, 천연의 상품이며, 고관의 벼슬도 하고, 거부가 되기도 하며, 특히 의식주가 풍족하고 어질고 착실하며, 마음이 넓고 선행의 십성이라 식신을 천주귀인(天廚貴人)이라 합니다.
신왕한 일간이 천연의 의식주를 풍부하게 타고난 식신을 얻으면 겁재도 용감하고 민첩하게 재능과 상품을 유용하게 활용함으로써 크나큰 포부와 뜻을 마음껏 발휘하고 성취하고 이룰수가 있습니다.
겁재는 식신을 도우고 생산을 가속화 함으로서 부귀를 촉진 시키는 한편 식신제살하면 사회의 기강을 바로 잡는 권리와 나라를 지키는 간성으로서 명성을 크게 떨칠 수 있고 대기업의 경영과 유흥업, 호텔업, 관광사업, 무역업 등으로 대성하니 일확처금으로 거부가 되는가 하면 권력을 이용하여 치부도 하는 능란한 재능도 발휘하게 됩니다.
그러나 식신은 왕성하고 일간이 신약한 경우에는 꽃은 꽃이로되 허약하고 시들어진 꽃으로서 열매를 맺을 수 없는 헛꽃이 될 수 있으니 그런 꽃을 겁재가 부채질하듯 만발하게 상관의 헛꽃을 피워 놓고 계속 일간의 정기만 낭비하고 소모시키니 결과는 실패작을 겁재가 서둘러 극성스럽게 헛고생을 자초하게 만드는 것이니 남의 말만 듣고 계획성 없는 사업을 시작하거나 상품을 제작하여 실패를 자초하는 경우도 발생 합니다.
무모한 투기와 탐욕때문에 사업에 실패하고 손재하고 파산하게 되며 만사가 실패로 돌아가 겁재인 제삼자의 말만 듣고 서둘렀다가 망치는 경우가 됩니다.
사주의 운세를 판별 할 때 일간 위주로는 식신이라하나 겁재의 입장에서는 상관이라는 개념을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됩니다.
일간의 식신은 천진난만하고 순수하며 조금도 거짓이 없는 재능이요, 예술이며, 천연의 과일이지만 일간의 식신을 겁재에서 보면 상관으로서 겁재의 성격과 겁재의 모든 행동이 상관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아니되니 다시 말해서 일간의 식신은 겁재의 상관이라는 말은 겁재의 행동과 말과 전반적인 모든 것이 상관이라는 것입니다.
'우산을 준비하는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겁재가 편재(偏財)를 만났을때의 통변 (0) | 2017.12.05 |
---|---|
겁재가 상관을 만나면 (0) | 2017.12.04 |
겁재가 겁재를 만났을때 나타나는 현상 (0) | 2017.12.04 |
겁재가 비견比肩)을 만날때 (0) | 2017.12.03 |
겁재(劫財)의 통변 (0) | 2017.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