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위하여

간지와 육갑의 개요 본문

우산을 준비하는사람

간지와 육갑의 개요

새 아침 2017. 10. 11. 13:03
반응형

오늘은 음양오행이 너무 길어서 간지와 육갑의 개요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음양오행이 기(氣)의 대별이라고 한다면, 간지와 육갑은 기의 세분화에 해당한다고 하겠습니다.

 

천테만상의 자연현상과 복잡다단한 인간 운명을 논하자면 몇가지 밖에 되않는 음양오행만을 가지고는 할 수 없기 때문에 성현들께서 간지와 육갑을 만들어낸 것이라 해야 할 것입니다.

 

간지를 글자수로 계산하면 모두 22자 밖에 안되고 긔것들의 이합집산으로 만들어지는 육갑이라고 해 봐야 도합 60개의 기둥밖에 되지 않지만, 그것들의 또다른 작용에 의해서 조성되는 무수한 내용들을 파악하게 되면 역리학은 신비의 학문이라고 감탄하지 않을 수가 없을 것입니다.

 

바둑판을 보면 가로세로가 모두 19줄씩으로 궁수라고 해야 361국밖에 되지 않지만  그것이 빚어내는 경우의 수는 한량이 없는 것처럼 간지와 육갑도 모든 면에서 헤아릴 수 없는 작용력을 나타내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모든 행에는 길이 있는것과 같이 간지와 육갑에도 그것들이 작용하는 일정한 법칙이 있는 법이어서 그것을 파악하고자 하는것입니다.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천간과 지지는 모두 22자입니다. 그것을 분류 해보면 천간이 10자이고, 지지가 12자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왜 간(干)자와 지(支)를 넣어서 천간과 지지라고 하였는지 그 어의부터 알아보면, 황제께서 천간은 하늘을 본 뜨고, 지지는 땅을 표상해서 만들었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천자'와 '지'자를 사용하는 것은 이해가 가지만 방패를 뜻하는 '간'자와 지탱하다라는 뜻의 '지'자를 붙인것이 의문인데 그것은 앞으로 '간'자를 줄기간자로, '지'자를 땅지자 또는 뿌리 근자 정도로 이해하면 무리가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간지에 대한 해석이 문헌에 그렇게 기록되어 있는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그렇게 이해 하는게 도움이 될것이기 때문입니다.

 

 

위 이미지의 간지는 천간이 10자, 지지가 12자 이기 때문에 10간과 12지라고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천간과 지지는 비록 22자에 불과 하지만 음양과 오행에서 파생된 것이므로 그 성질들을 분석해 보면 음양 오행의 다른 명칭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구체적인 기능에 있어서는 각각 특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속성을 보면 그렇다는 말입니다.

 

 

 위 이미지는 천간과 지지를 음양, 오행으로 분류 해 놓은 것 입니다.  

 

분류 해 놓고 보니 토(土)를 제외한 다른 천간과 지지들이 각각 두자씩 오행에 배속되어 있음을 발결할 수 있는데요 그 이유는 간지에도 믕과 양이 나누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것 들은 천간과 지지가 두자씩 나누어져 있는데 토만 지지가 네자여서 헷갈릴 수 있는데 , 차후 그 원인과 논리를 이해 하시게 될것 입니다.

 

 

지지의 음양 분류에서 각별히 유의 해야할 것이 한가지 있는데 , 사오(巳午)와 해자(亥子)에 대한 것인데, 실제의 음양 분류는 위 이미지처럼 가르는 것이 원칙이지만 명리학에서는 그 반대로 되어 잇습니다.

그렇게 된 원인은 체와 용의 구별에 의한 장간법 때문인데요 체와 용및 장간법에 대한 언급이 아직 없었기 때문에 그냥 바뀌었다라고만 이해 하시고 다음에 거론 하도록 하겠습니다.

 

 

-명리대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