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위하여

합과 충의 관계에 대하여 본문

우산을 준비하는사람

합과 충의 관계에 대하여

새 아침 2017. 10. 28. 07:54
반응형

합과 충의 관계에 대하여 또 다시 포스팅하는 이유는 그들의 상호 관게가 어떤 역할을 하는 지에 대한 포스팅이 없었기 때문이다.

 

합은 서로 화합하여 세력을 이루게 되고 결속하여 강한 기를 형성하는 것을 말하며, 충은 서로 충돌하여 파괴. 피상. 불화. 이탈. 분리 등의 작용을 하는 것을 말한다.

 

합은 서로 화합하여 결속하니 좋고, 충은 부수고 파괴시키는 흉한 작용이 있지만 모드 그렇지는 않다. 합이라도 나쁜 세력들이 결속하면 더욱 흉하며, 충이라도 흉한 것을 피해갈 수는 있다. 또한 무모하고 강한 새력은 충, 극을 하여야 유연할 수 있으므로 천간과 지지의 합. 충 변화를 면밀히 관찰 하지 못하면 운명의 변화와 길흉화복의 근간을 파악하기 어렵다.

 

천간합과 천간 충은 간합, 간충이라고도 한다. 천간은 하늘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합화하고 충극하는 작용은 민첩하고 급속하여 현실적이며 세밀한 변화로 나타난다.

모든 천간과 지지의 합은 음과 양으로만 이루워지며 충은 양과 양, 음과음으로 작용 하게 되는데, 충은 곧 오행의 극과도 같으므로 그 작용에 대해서도 반드시 충으로만 파괴되는 의미난은 아니라는 점이다.

 

 

천간합은 음과 양이 짝을 이루며 다시 새로운 오행을 탄생시킨다. 양간이 음간을 합하므로 남녀가 합을 하는 것과 같다하여 부부합이라고도 할 수 있다. 사주 내 에서도 천간의 합, 충, 극의 관계적 작용이 섬세하여 추명의 핵심적 요소가 된다.

 

십천간은 음간은 양간을, 양간은 음간을 합 한다.

 

갑 - 기   = 토 (중정지합)

을 - 경   = 금 (인의지합)

병 - 신   = 수 (위엄지합)

정 - 임   = 목 (인수지합)

무 - 계  합  = 화 (무정지합)

 

甲己合

분수를 알고 마음이 후덕해 다툼을 싫어 하니 사람들의 존경을 받게 된다. 예외로 인정이 없고 잔꾀에만 능한자도 있다. 

 甲일생이 己를 합하면 신용과 정직성은 있으나 나태한 면이 있고,  己가 중첩되어 있으면 남자는 첩이 있게 된다.

 

乙庚合

용감하며 강직한 성품으로 인의가 두터우며 용감한 면이 있으나 박정하고 인색한 면도 있다.

乙에서 庚을 합하면 예절이 소흘하고 결단성은 있으나 신용은 없다.

庚에서 乙을 합하면 의리가 없고 자기주장이 강하며, 골격이 좋고 치아가 튼튼하다.

 

丙辛

위엄성이 있으나 간혹 잔인하며 색을 좋아 한다. 속 마음은 냉정하고 이기적이며 뇌물 받는 것을 좋아 한다.

丙이 辛을 합하면 머리는 총명하나, 속 마음은 냉정하고 이기적이며 사모(詐謨)를 잘 쓰며 예의가 문란 하다.

辛이 丙을 합하면 착하고 큰 뜻을 품지 않으며, 아담하고 가정적이다.

 

丁壬合

감정이 민감하고 자신을 높이 평가 해 잘난 채하고, 남녀 모두 음사를 좋아 하며, 나이 차이가 많은 결혼을 하거나 만혼을 한다.

丁이 壬을 합하면 소심하며 성질은 깨끗하고, 사치를 즐기며 질투심이 많다.

壬이 丁을 합하면 성질이 예민하고 바른말을 잘 하며 맏음이 없다.

 

戊癸合

용모가 아름답지만 마음은 냉정하고 박정하다. 결혼에 장애가 따르며, 나이 많은 사람과 결혼 하는 경우가 많다.

戊가 癸를 합하면 총명하고 단정하지만 속마음은 무정한 면이 있다.

癸가 戊를 합하면 정직하고 총명 하지만 질투심이 강하고 박정한 면이 있다.

 

 

충이란 극과도 다를 바 없는 것으로, 분열과 파괴의 성질이 있다. 충이라는 것은 서로 충돌하는 것을 의미하여 모두가 피해작용이 나타나게 되며, 극이란 한쪽이 다른 한쪽을 피해를 입히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그런 오행의 서력 차이에 따라 역시 극하는 입장에서도 피해가 따르게 된다.

충이란 파괴도 하지만 강한 세력을 유연하게 해 주는 역할도 히게 되어 단순히 충 하나만의 작용 만으로 속단할 수 없다.

그러므로 작용력을 면밀하게 판단 해야 한다는 것을 결코 간과 해서는 안된다.

대체적으로 일간의 작용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 칠살을 만나고 기신에 해당하면 질병. 사고. 수술. 비애. 관재 등의 흉사가 따르게 되며 , 사주가 신왕하고 칠살이 하나면 매우 귀한 명이 되기도 하며, 사주체의 구조 변화에 따라 충이 전화위복이 되는 경우도 있다.

 

양간이 합하는 반대편의 음간 양쪽에 위치한 간들과 충, 극이 이루워 진다.

갑경충, 을신충, 병임충, 정계충, 무갑극, 기을극, 경병극,신정극, 임무극, 계기극

 

 

천간이 줄기라면 지지는 땅으로, 뿌리가 된다. 천간은 줄기나 가지와 같아서 합과 충의 작용이 민감하게 나타나는 것에 비해, 지지는 근으로 충과 합의 작용이 매우 크므로 근간 전체에 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지지는 한번 합이 결속을 하게 되면 연존하기도 하며, 충이나 극을 당하여 뿌리가 뽑히면 소생 불가능에 이르기도 한다. 또한 합을 할 경우 , 그 환경 조건을 잘 살펴야 한다. 합을 하는 방해 세력이 있는지,  합을 유도 하는지, 합을 도와서 결속을 유리하게 하는지 등의 조건에 따라서 합이 되는 각자의 능력이 다르게 나타난다.

분명 합을 하고 있지만 합이불화가 될 수도 있고, 충이라도 충불충의 현상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런 오행의 변화 과정을 명료하게 가파 하지 못하면 운명 추론의 오류가 생길 수 있다.

 

-명리학 정론-

 

 

반응형